모든 글들

정상적인 사이트를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고하는 경우

보안 프로그램도 발전을 하고 있고, 기본적으로 기술적인 피해를 입은 사용자들을 위하는 기술자들이 만든 혜택입니다. 상품이기는 하지만, 정상적인 사용을 보장해주려고 노고를 들이는 체제입니다. 해킹이 정말로 여러 형태로 상식을 비껴가고 있고, 사이트만 방문해도 PC에 악영향을 준다는 경우도 많은데다, 상식으로 알려진 것을 의심해봐야할때 있게 되는 일들이 있는데요. 문제가 없는 사이트가 수상한 사이트로 마킹이 되어 보안 프로그램에서 표시한다든가, 문제없는 […]

정상적인 사이트를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고하는 경우 Read More »

쿠키 관련해서 보고 하나 더

사이트 방문시 사용상의 설정을 저장하는 용도로 웹브라우저에서 쿠키를 생성하게 해서 설정 사항을 저장하는 것이 일반적인 기술입니다. 많은 분들이 이미 아시는 것처럼, 로그인 폼에 미리 아이디를 읽어들여 표시하거나, 사이트에서 설정한 설정을 기록하는 등의 용도로 쓰이는게 쿠키인데요. 때로는 쿠키가 트랙킹 쿠키라고 해서 사용자의 사용상의 과정을 추적하는 마케팅으로도 이용되기도 해서 안티바이러스나 보안용 프로그램에서는 이를 지워주기도 하네요. 알고리즘 상으로

쿠키 관련해서 보고 하나 더 Read More »

오픈소스라는 철학적 논의 대상

오픈소스와 자유소프트웨어 정신은 건전한 해커 문화의 산물이고 세상을 일정 부분 발전시킨 사상입니다. 크래커와 구분되는 해커를 강조하기도 했고 기술의 발전에 독점이나 은폐보다 열린 체계를 도입해서 기여하는 측면이 크네요. 특별히 사회에 대한 연구를 하시는 분들도 오픈소스 운동의 철학적인 측면을 주목하시기도 해서, 오픈소스가 대중화되던 1990년대 후반과 2000년대 초반에는 사회학 연구자분들도 관심을 가진 주제였군요. 오픈소스를 지지하는 기술자 중에 에릭

오픈소스라는 철학적 논의 대상 Read More »

클라우드웨이즈에서 미그레이션툴 안쓰고 수동 이전 과정에 대한 해설

사실 미그레이션툴을 쓰면 왠만하면 잘 됩니다. 램 할당량이나 디스크 사용량 제한 기능들, 파일 업로드 크기 제한이 아니면 잘 됩니다. 안되는 경우에는 아래 사항을 확인해보시길 권합니다. 클라우드웨이즈 기준입니다. 잘 안될 수도 있으니 아이디어 제시로 보세요. 잘 안되도 책임안집니다. (1) 램 할당량Applications→조정할 어플리케이션 항목→Application Setting→PHP FPM Settings 로 진입;php_admin_value[memory_limit]=32M 이라고 된 라인에서 ;를 삭제하고 32M를 크게 설정

클라우드웨이즈에서 미그레이션툴 안쓰고 수동 이전 과정에 대한 해설 Read More »

위로 스크롤